오엠디한의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2015년 대한민국명가명품대상
오가닉한의원
처음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관리자
한의원 소개 유기농 공진단/경옥고 통풍클리닉 뇌발달클리닉 수능환 위드스타
 
작성일 : 25-10-23 09:20
출근 ‘1시간’ 넘게 걸리면 ‘가족 관계’ 악영향…자가용 이용자는 더 취약했다
 글쓴이 : AD
조회 : 0  
   https://krzom.org [0]
   http://organicgj.com/board/bbs/logout.php?url=https://krzom.org%23@/ [0]

출근 ‘1시간’ 넘게 걸리면 ‘가족 관계’ 악영향…자가용 이용자는 더 취약했다



https://krzom.org


통근 시간이 1시간을 넘으면 외로움을 느낄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자가용을 이용하는 직장인은 외로움을 더 느꼈다.

24일 강북삼성병원 성균관의대 작업환경의학과 최백용 교수 연구팀은 2023년 서울시 거주 직장인 2만 4278명을 대상으로 통근 시간과 외로움 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Transport & Health’(교통 건강 저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서울시가 매년 진행하는 조사 ‘2023 서울서베이’의 문항을 활용해 이들의 외로움을 측정했다. 측정 영역은 가족 관계에서 느끼는 외로움, 가족 외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끼는 외로움 두 가지였다.

분석은 편도 통근 시간에 따라 ▲30분 이하 ▲31분 이상~60분 이하 ▲60분 초과 등 총 세 집단으로 나눠 진행했다.

연구 결과 통근 시간 60분 초과 집단은 30분 이하 집단보다 가족 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낄 위험이 49%, 가족 외 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낄 위험은 36%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통근 시간이 60분을 초과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통근 수단별 외로움 차이도 분석했다. 통근 시 자가용을 이용하는 직장인은 외로움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대중교통·도보·자전거 이용자의 경우 외로움이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통근 근로자 이동 특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통근 근로자의 평균 출퇴근 소요 시간은 73.9분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82.0분으로 가장 길었고, 강원은 57.7분으로 가장 짧았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는 통근 시간이 단순히 삶의 질 문제를 넘어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고립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통근 시간을 줄이고 사회적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집에 있나 찾아보세요”…99만원까지 치솟은 ‘추억의 물건’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9일
둘째 고민?…“외동 아이들이 더 똑똑하고 행복하다”
“품절 대란이라 못 샀는데”…카이스트 탈모 샴푸, 이제 ‘여기서’ 판다
“제조번호 확인하세요” 아이들 ‘비타민’서 이물 가능성…한미약품, 자진 회수 조치
말 끊고 대화 중 딴청, 당신도 혹시 ADHD?…전문가가 밝힌 9가지 신호
“딸 얼굴에 혹” 병원갔더니 ‘학대 의심’ 오진…희귀암으로 사망한 1살 英아기






6m3k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