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엠디한의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2015년 대한민국명가명품대상
오가닉한의원
처음으로 로그인 회원가입 관리자
한의원 소개 유기농 공진단/경옥고 통풍클리닉 뇌발달클리닉 수능환 위드스타
 
작성일 : 25-06-25 14:22
식욕 주체할 수 없다면…“식사 전 ‘이 행동’만으로 포만감↑”
 글쓴이 : AD
조회 : 0  
   https://issuein.top [0]
   http://organicgj.com/board/bbs/logout.php?url=https://issuein.top%23@/ [0]

식욕 주체할 수 없다면…“식사 전 ‘이 행동’만으로 포만감↑”



https://issuein.top



식사에 앞서 음식의 냄새를 맡는 행동으로 포만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해외 연구 결과가 나왔다.

11일(현지시각) 독일 쾰른대 소속 소피 스테쿨로럼 교수팀은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연구 논문을 싣고 이같이 밝혔다.

연구진은 우리 몸이 음식에 관한 정보를 통합하는 방식과 음식을 섭취하는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특히 음식의 냄새가 음식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는 게 이번 연구의 핵심이었다.


연구진은 태어난 지 8~16주가 지난 수컷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벌였다.

우선 음식 냄새에 노출된 환경과 그렇지 않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쥐를 두 집단으로 편성하고, 이 중 한 집단에는 코에 황산아연을 주입해 후각을 잃도록 유도했다. 이어 쥐들에게 음식 냄새를 맡도록 한 뒤 뇌의 활성 상태 변화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식전에 음식 냄새를 맡은 쥐는 뇌의 중격에 있는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이 강하게 활성화됐다.

이는 곧 음식 섭취량의 감소로 이어졌다. 이 과정의 원리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진이 실험쥐를 대상으로 후각 기관에서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으로 이어지는 신경 회로를 자극했더니, 이들 쥐의 음식 섭취량은 약 24% 감소했다. 식사에 앞서 음식 냄새를 맡는 행동으로 섭취량을 줄일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이유다.

한편 후각을 잃은 쥐에게서는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이 특별히 반응하지 않아 음식 섭취량에도 변함이 없었다.


연구진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음식 냄새를 맡아 식사 전에 포만감을 유도하고 섭취량도 조절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이런 원리가 폭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혈당 수치 증가 등의 위험 요소에 대응하는 이점을 주는 것으로 추측했다.

다만 비만한 이들은 이러한 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진은 설계 과정에서 쥐들을 일반 사료 식이군과 고지방 사료 식이군으로 나눠 따로 급식한 뒤 실험을 벌였다.

일반 사료 식이군은 글루타메이트성 뉴런이 활성화돼 음식 섭취량 감소 효과가 도드라졌으나, 고지방 사료 식이군은 후각 예민도가 감소해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비만한 쥐들은 후각 자극에 따른 음식 섭취량 감소 효과를 누리지 못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가 인간의 음식 섭취 행동에서 감각 조절이 중요하다고 지적한 기존 연구들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위장관으로 빠르게 음식을 보내면 식욕을 억제하기 어렵지만, 오래 씹는 등 감각 신호를 재활성화하는 것만으로 포만감을 증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이끈 스테쿨로럼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후각이 일상 속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식욕을 조절하고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후각의 역할을 고려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사타구니에 부항 뜬 17세 소년, 호흡곤란으로 병원행…치명적 ‘이것’ 감염
한국인은 잘 안 먹는 ‘세계 소비량 4위’ 고기…콜레스테롤도 막는다고
[오늘의 운세] 2025년 3월 9일
“기적의 풀”…녹차보다 항산화에 더 좋다는 ‘이 차’, 체중 감량에도 효과
K리그, ‘축구 vs 야구’ 논란에 결국 사과…영상 업로드는 강행
“귀지로 암 환자 100% 구분…치매까지 진단 가능해진다”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28일
손끝이 뭉툭해지길래 병원 갔는데…“한쪽 폐 잘라내야” 충격 진단 받았다
[오늘의 운세] 2025년 6월 7일
평생 트림 못한 女 “배만 부풀어 올라”…해법이 ‘보톡스’라고?






m3